서브상단 글자

임원동정

HOME     학회소식     임원동정

[무용역사기록학회 편집위원 손선숙 이사님 저서]<동동 : 궁중 융합무대예술, 그 본질과 아름다움>
작성자 : 관리자 등록일시 : 2019-05-07 11:17
첨부파일 :

동동 : 궁중 융합무대예술, 그 본질과 아름다움

 

 

조규익 _ 문숙희 _ 손선숙 _ 성영애 / 민속원

 

 

한국무용역사기록학회 편집위원 손선숙 이사 소식입니다.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에서 <동동 : 궁중 융합무대예술, 그 본질과 아름다움>(민속원)이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총서58’로 나왔다. 고려조와 조선조의 궁중 연향에서 공연되었던 가무악 융합 무대예술 ‘동동’에 대한 관한 공동저술(저자: 조규익, 문숙희, 손선숙, 성영애)이다. 이미 2015년에도 우리(조규익, 문숙희, 손선숙)는 궁중 예술 역사상 최고봉으로 인정받고 있는 ‘봉래의(鳳來儀)’를 유사한 관점과 방법론으로 연구한 저서 <세종대왕의 봉래의, 그 복원과 해석>을 낸바 있다. 양자 모두 각 분야의 연구자들이 들러붙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무대공연을 갖고, 그 결과를 엮어 낸 것이다. 전자와 마찬가지로 이 책의 규모는 작으나, 학계에 던지고자하는 메시지는 ‘턱’없이 크다. 사실 기존의 학문적 관습이나 섹트의식에 매몰되어 있는 동학들이 개권(開卷)할 가능성은 희박하고, 설사 슬그머니 열어본다 해도 가납(嘉納)될 확률은 더더욱 희박함에도 할 말이 많은 우리였다.

 

최근까지 <동동>은 국어국문학과 은사님들로부터 배운 ‘문자’텍스로서의 ‘동동’일 뿐이었고, 그것은 고려속요, 고려가요, 여요려가‘ 등의 명칭으로 부르던 시문학 텍스트일 뿐이었다. 초창기 연구자들이 명칭에 대하여 갖고 있는 편견과 그로부터 확립된 논리구조가 별 수정 없이 대물림되어 내려오고 있는 형편이다. 무용 또한 춤의 내용이 문헌에 기록되었음에도 고증적 비판 없이 정재전승자들의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소에서는 그런 문제를 타개하고자 문학, 음악, 무용을 연구하는 4인이 머리를 맛대고 ‘동동’ 정재의 융합적 성격을 분석적으로 고찰하기 시작했고, 작년 12월 초에 그 중간 결과를 무대로 발표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듬어 지금의 책으로 묶어내게 된 것이다. 본 연구소 창립초기부터 가세한 한국음악 연구자 문숙희와 앞서 가던 한국무용 연구 및 실연자(實演者) 손선숙 박사의 활발한 활동을 통해 가능하게 되었다.

 

이 책의 내용이나 방향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머리말을 첨부하고자 한다.

 

지난 해 12월, 우리는 그동안 공부해온 ‘동동’을 무대(“동동, 시간이 흘러도 변함없는 사랑의 염원이여!”/국가지정무형문화재전수회관 풍류극장/2018년 12월 1일)에 올렸다. 고려와 조선조 궁중연향에서 속악으로 연행되던 ‘동동’을 가무악의 융합예술 그대로 재현해 본 것이다. ‘동동’이 <고려사 악지>(<악 2/속악> ‘동동’)와 <악학궤범>(권 3 <고려사 악지 속악정재> ‘동동’/권 5 <성종조 향악정재도의> ‘아박’)에 그 존재를 드러낸 것은 수백 년 전의 일. 그러나 그 맥박과 온기는 아직도 살아 있었다.

 

마음속의 뜻을 말로 나타내면 시가 되나, 말만으로 부족하니 탄식하고, 탄식만으로 부족하니 길게 노래하고, 길게 노래하는 것만으로 부족하니 알지 못하는 사이에 손을 흔들어 춤추고 발을 움직여 뛰게 된다.

 

그 옛날 <모시毛詩> <대서大序>의 이 단언斷言이야말로 훗날 ‘동동’의 예술성 해명을 위해 예비한 것이나 아니었을까? ‘말(시)노래,춤’ 등 메시지 전달의 수단들은 대체재代替財나 독립재獨立財 아닌 상호 보완재補完財들이다. 개별적으로보다 함께 쓰면 전달의 효율성과 예술성이 훨씬 높아지기 때문이다. ‘동동’의 융합예술미 대신 “고려속요 <동동> 운운”하며 조각난 텍스트만을 공부해오던 지난날들. 고전시가의 콘텍스트에 대한 무지가 불러 온 무명無明의 시간대였다.

 

‘동동’은 여성의 예술이다. 임에게 바치고픈 자신의 존재와 마음을 설명하기엔 ‘사랑’이란 개념어가 지극히 제한적이고 추상적이었으리라. 그래서 노래로 음악으로 춤으로 들려주고 보여주려 한 것이나 아닐까? 중세왕조의 임금이나 고귀한 존재를 대상으로 토로한 불멸의 사랑과 불변의 서정이 융합 무대예술 ‘동동’의 핵심인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시간이 흘러도 계절이 바뀌어도 바치는 자의 사랑은 변함없음을 가_무_악으로 표현하려 애쓴 점이 참으로 놀랍지 아니한가.

 

문학_음악_무용 세 분야의 행복한 융합을 꿈꾸며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를 출범시켰고, 우리 역사상 최고_최대의 궁중악무 ‘봉래의’를 무대(“세종의 꿈, 봉황의 춤사위를 타고 하늘로 오르다!”/국립국악원/2013년 11월 21일)에 올리기도 했다. 그 감동과 추억을 떠올리며 감행해본 지난 해 겨울의 그 무대는 실연實演과 연구발표를 통해 ‘동동’의 예술미학을 구현하기 위한 실험적 자리였다. 그리고 오늘, 그 결과를 이렇게 엮어낸다. ‘고려속요 동동’에서 ‘속악정재 동동’으로, ‘분리에서 융합’으로! 단언컨대, ‘텍스트 지평의 전환’이란 바로 이런 것이다.

 

귀한 고악보 및 사진자료들의 사용을 허락해주신 국립국악원, 꿈과 땀의 결실을 아름다운 책으로 엮어주신 민속원 홍종화 사장님과 신나래 선생님 등께 감사드리며, 강호제현의 가르침을 고대한다. 

2019. 5. 1.

 

지은이들을 대표하여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소장 및 국문학과 교수 조규익


이전글 [무용역사기록학회 한혜주 총무이사님 공연] <몸이야기>2019년 5월 11일
다음글 [무용역사기록학회 공연소식 안내]<2019 명작무뎐傳 : 시대의 춤 그 의미를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