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자료실     논문검색

pISSN : 2383-5214 ㅣ eISSN : 2733-4279

무용역사기록학 , Vol.46 (2017)
pp.57~84

아카이브에 대한 안무적 접근 : <봄의 제전(2013)>을 중심으로

김재리

(성균관대학교 겸임교수)

본 연구는 아카이브를 활용한 안무의 사례를 중심으로 아카이브와 무용 실천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카 이브 경향의 컨템퍼러리 댄스의 창작과 담론에 대해 논의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안무가 이민경과 조아오 도스 산토스 마틴스(João dos Santos Martins)의 작품 <봄의 제전(2013)>의 작업 현장에 참여하여 안무를 통해 아카이브에 접근하는 방식에 대한 실천적인 논의를 구성하고자 했다. 이 작품은 100년간 바슬라브 니진스키(Vaslav Nijinsky, 1889-1950)의 <봄의 제전(Le Sacre du Printemps)>을 재작업한 안무가의 작품들을 발굴, 수집하고 새롭게 맥락화하는 아카이브 방법론을 적용 하여 안무를 발전시켰다. 이는 기존의 작품을 창작의 재료로 삼는 안무의 방식일 뿐 아니라 과거의 것으 로부터 현재의 유효성을 찾는 컨템퍼러리 안무가의 역사적 태도로서 고정된 역사와 지식에 수행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정치적 행위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창작 현장을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연습실에 기반한 연구(Studio-Based Research)를 적용했다. 본 연구자는 <봄의 제전(2013)>에서 해설의 역할을 하는 출연자로서 리허설, 개념에 관한 토론, 안무 구성, 해석과 성찰 등 안무의 각 단계에 참여했으며 이 과정에서 관찰, 면담, 분석, 해석의 절차를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는 현장에서 창작과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연습실에 기반한 연구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론과 실천의 통합적 관점에서 무용의 연구를 진행할 수 있 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아카이브에 접근하는 안무 수행에서 중요한 요소를 발견했다. 첫째, 예술작품의 저자와 재연자(reenactor)의 관계이다. 과거의 자료를 다루는 아카이브 방식의 공연에서는 원본을 현재 에 번역하고 전달하는 재연 행위가 중요하다. 안무의 관점에서 아카이브는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에 재연되는 것이다. 둘째, 원본을 모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를 통한 창조이다. 니진스키의 작업을 재연한 10개의 작품들은 원본과의 차이를 통해 새로운 의미와 맥락을 생산하며 <봄의 제전 (2013)>의 한 무대에 배치됨으로써 서로 다른 미학적 충돌을 발생시킨다. 셋째, 역사의 신체화이다. 아카이브에 대해 안무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은 현존하는 신체와 춤을 통해 과거를 현재화하는 것을 의 미한다. 아카이브 기반의 안무는 남겨진 자료들을 춤과 공연의 매커니즘으로 조직하고 이를 현재의 관 객들과 나눈다. 따라서 아카이브에 대한 안무 행위는 역사에 대해 수행적으로 접근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카이브와 안무와의 관계에 대한 탐색을 시도하고자 했으며 연구의 결과를 통해 컨 템퍼러리 무용의 새로운 작품 창작의 방식 및 담론의 생산의 방법과 관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The Choreographical Approach to Archive : Focusing on

Kim, Jaelee

This study looks into the relationship of archive and dance practices by examining a case of archive applied choreography and I discussed the creation and discourses of contemporary dance which tends to archive. For this, I took a part in work of by Min Kyung Lee and João dos Santos Martins and I discussed the choreography which archive was applied. This work was developed into choreography by collecting and newly contextualizing many reworked versions of Vaslave Nijinsky(1889-1950)’s through archive methodology. For this research, I applied Studio-Based Research in order to investigate in the field of work. I found elements that deal with the choreographic approach to archive in . First, the relationship of author and reenactor. A certain arts piece guaranteed authorship and this as the original guaranteed status in the past. However through a choreographer’s translation it seemed like a resistance against power and hierarchy given by history.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mimesis and creation. Through many repetetion of the original piece, differences are made with it, and in the translated works exists ‘singularities’. Thirdly, the embodiment of history. A choreographical approach to archive is to actualize the past through bodies and dance. Choreography which is based on archive organizes remaining documentation by a mechanism of dance and performance and to share with the audience. Through this study, as I tri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archive and choreography in a practical sense, I would suggest a perspective on the production of creations and discourses in contemporary dance using the archive.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