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자료실     논문검색

pISSN : 2383-5214 ㅣ eISSN : 2733-4279

무용역사기록학 , Vol.57 (2020)
pp.5~30

한국 근대 무용언술의 탄생

김호연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이 연구는 한국 근대무용이 공연예술로 의미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언술 행위가 펼쳐지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근대는 서양 근대 문물의 수용과 자생적 근대 의식이 충돌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는 시기이다. 특히 신문의 등장을 통해 대중의 사회참여 기회는 많아졌고, 개인의 생각을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근대적 의식도 싹트게 되었다. 이는 무용공연을 보고 감상을 적는 비평 형식의 리뷰, 프리뷰, 무용이론 등이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근대 한국에서는 전문적인 무용비평 은 형성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다양한 관점에 따라 무용담론을 만들어 대중의 심미적 근대성을 높이 고자 한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행위들로 주목할 수 있다.

The Birth of Modern Korean Dance Discourse

Kim, Hoyo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act that was unfolded in the process of modern Korean dance securing its significance as performing arts. In Korea, the first-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witnessed the formation of new culture based on a clash between modern Western civilization that was accepted and the autogenous modern consciousness. The appearance of newspapers, in particular, provided ample opportunities for the reading public to participate in the society and gave birth to the modern consciousness of sharing one's ideas with others. This happened in the field of dance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reviews in the criticism format after the appreciation of dance performances, critiques, dance theories, and new ideas of the traditional dance. There was no establishment of proper dance criticism in Korea during the modern period, however there were meaningful acts to create dance discourses from diverse perspectives and enhance the aesthetic modernity of the public.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