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자료실     논문검색

pISSN : 2383-5214 ㅣ eISSN : 2733-4279

무용역사기록학 , Vol.66 (2022)
pp.69~88

DOI : 10.26861/sddh.2022.66.69

촉접(觸接)연구를 통한 배구자 춤 다시쓰기+ : 「사(死)의 백조」를 중심으로

서고은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박사졸업)

김경희

(성균관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본 연구는 배구자의 초기 발레 작품으로 간주되는 「사(死)의 백조」를 재구성하여 배구자 를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촉접 연구의 첫 번째 단계에서 본 연구자는 배구자가 등장한 사진 자료들과 신문 기사들을 통해 그녀의 몸과 촉접하고 당시의 기록 들 이면에 담긴 내용들을 찾는 작업을 했다. 다음으로, 배구자의 춤과 관련한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배구자의 무용세계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자 했다. 세 번째 단계에서 는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배구자의 「사(死)의 백조」를 재구성하여 몸에서 경험하는 내적 체험을 유도해 내고자 했다. 이것은 당시의 배구자가 이 작품을 연기하면서 가졌을 내면적 체험, 신체적 경험 등을 공감하는 촉접의 과정이다. 촉접은 현재의 연구자가 과거의 배구자와 몸을 매개로 만나고 느끼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렇기에 본 연구를 통해 기존에 피상적으로 알고 있던 배구자에 관해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할 수 있었고, 기존의 역사가 언급하지 않았던 그녀에 관한 진실에 접근할 수 있었다. 「사(死)의 백조」는 배구자 자신을 작중에 투영한 작품으로 배구자는 죽어가는 백조를 통해 자신의 내면 을 표현하고자 했다. 고별 무대로 기획된 공연의 피날레 작품을 통해 그녀는 마지막 예술 혼을 불태웠다. 「사(死)의 백조」를 재구성하고 촉접하면서 공연 당시 배구자의 체험을 공감할 수 있었고 작품 자체도 새롭게 해석할 수 있었다. 촉접을 통한 역사 연구는 당시를 살았던 인물을 보다 입체적이고 깊이 있게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역사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보다 개방적인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자는 새로운 방식의 역사 연구가 한국무용사 기술 방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길 바라며 더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바이다. 본 연구가 향후 관련 연구에 있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Rewriting the History of Bae Gu-ja’s Dance+ : Focusing on The Death of Swan

Seo KoEun

Kim Kyunghe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t of Bae Gu-ja by reconstructing her early work The Death of Swan. First, the contents behind the records of the era were identifi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photo materials and newspaper articles in which Bae Gu-ja appeared. Then, various data related to Bae Gu-ja were collected in order to gain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her dance. Lastly, Bae Gu-ja’s The Death of Swan was reconstructed to induce an inner experience, felt in the body. This is a process of empathizing with what Bae Gu-ja must have felt while performing The Death of Swan. The Death of Swan is an artwork in which Bae Gu-ja attempted to project herself and to express her inner self through a dying swan. While reconstructing and rewriting the performance, it was possible to reinterpret it and empathize with Bae Gu-ja’s experience. Furthermore, it also allows for the possibility of various interpretations of history, enabling a more open discuss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Korean dance history description method by conducting a new type of historical research, and to highlight the need to conduct more diverse research.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