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자료실     논문검색

pISSN : 2383-5214 ㅣ eISSN : 2733-4279

무용역사기록학 , Vol.51 (2018)
pp.9~27

독재정권기 공공극장 건립에 나타난 민족주의 경향

권혜경

(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대표적인 국공립 극장인 국립극장, 국립국악원, 세종문화회관, 예술의전당 이 건립되는 과정에서 국가주의적 민족주의가 어떻게 작동하고 발현되었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당시 문화정책과 이들 극장 건립에 관한 기록물들을 통해 정부가 극장 건립을 추진한 배경과 목적을 추적하 고, 국가주의적 관점이 건축적으로 또는 공연으로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1967년 국립국악원 부설 국악사양성소(현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 준공, 1973년 장충동 종합민족 문화센터(현 국립극장) 신축 개관, 1978년 세종문화회관 개관, 1987년 예술의전당 개관, 1987년 국립 국악원 서초청사 개관으로 이어지는 극장 건립의 역사는 모두 제3, 4공화국과 제5공화국 시기에 국가 주도로 이루어졌다. 비민주적인 방법에 의해 집권했다는 공통점을 갖는 제3, 4, 5공화국은 자신들의 결여된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민족주의를 강조하였다. ‘민족’은 전 국민을 단일한 정체성으로 묶어 단합하게 하는 매우 효과적인 개념으로 작동했으며, 전통문화예술은 민족적 자긍심을 고양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이와 같이 극장 건립은 도시의 공간을 점유하여 시각을 압도하는 대형 건축물로서 정권의 권위를 과시하고, 민족적 자긍심을 고양시키는 전통공연예술을 확장하는 기반 시설로서 기능하며 독재정권기 국가 주도로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Nationalist Movement in the Construction of Theaters in the Era of the Dictatorial Regime

Kweon Hye Kyu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nationalism has been operated and emerg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and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National Gugak Center, and Seoul Arts Center. I analyze the records about the construction of the theaters from the viewpoint of nationalism. Also I examine how the nationalistic view had been expressed architecturally and how the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in the performances. The history of the construction of the theaters was entirely led by the state during the 3rd, 4th and 5th republics. The 3rd, 4th and 5th republics, all of which had been ruled by undemocratic regimes, emphasized nationalism in order to compensate their lack of legitimacy. The ‘nation’ has worked as a very effective concept to unite the whole people into a single identity, and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art have been used as the most effective means of raising national pride. As such, the construction of the theaters as an infrastructure for expanding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as essential, and it was actively promoted in this background. At the height of this flow, which began in the 1960s, there was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