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자료실     논문검색

pISSN : 2383-5214 ㅣ eISSN : 2733-4279

무용역사기록학 , Vol.55 (2019)
pp.403~423

DOI : 10.26861/sddh.2019.55.403

지방무용 콘텐츠개발을 위한 백제악무 연구

황희정

(강원대학교 무용학과 강사)

한경자

(강원대학교 무용학과 교수)

본고는 백제의 악무를 연구하여 지방무용의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먼저 무용에 필수적인 백제의 악기에 대한 지금까지의 자료를 살펴보면 관악기 적․소․생․지․도피필률․막목․각․ 우․백제생황 9종(혹은 8종), 현악기 곡경비파․완함(백제3현)․공후․수공후․금․쟁․백제8현금 7 종, 타악기 고․요고 2종까지 총 18종(혹은 17종)으로 맑고 청아한 음색이다. 현행되고 있는 백제악무의 콘텐츠는 백제문화제의 웅진백제 5대왕 추모제의 아악 및 식전무용을 들 수 있다. 이것은 800년뒤에 편찬된 조선시대의 국조오례의의 아악을 가져온 것이다. 그러나 둘 사이의 시대가 지나치게 떨어져 있고 아악의 몇몇 악기는 백제 시대에 존재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백제인에 의해서창작되고 백제에서 기원한 <신소리코(進蘇利古)>와 <오닌테이(王仁庭)> 같은 일본 무용을 참고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무용들은 여전히 일본에서 전승되고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백제 궁중무용 콘텐츠를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일정한 제약을 두어 백제 궁중무용을 안무할 수 있다. 음악은 3~5인의 소규모연주였을 것이고 무용은 2~6인의 무인들로 구성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작품의 움직임 범위 또한 유추할 수 있다. 이를 백제문화제의 백제왕 추모제 식전행사, 백제 관련 공연물 등에 활용한다면 기존 춤과는 차별적인 콘텐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Music and Dance in Baekje Period for the Content Development of Local Dance

Hwang, Hee Jeong

Han, Kyung Ja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content of local dance through music and dance in the Baekje perio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rticles on musical instruments during the period. According to precedent research, there are either nine or eight types of wind instruments: jeok, so, saeng, ji, dopipilul, makmok, kak, wu, and baekje-saenghwang; seven types of string instruments: pa, wanham(3 strings), konghoo, sukonghoo, keum, jaeng, and baekje 8 hyonkeum; and two types of percussion: ko and yoko. These instruments number eighteen or seventeen in total, and the tones are clear and elegant. Today there are A-ak and dance in the ancestral ritual for Woongjin Baekje five kings as the content of music and dance in the Baekje period. The resource of them was brought from A-ak of Kook-jo-o-re-ui written 800 years after the Baekje period. However, the time period between them is too distant, and several instruments among A-ak had not existed in the Baekje period. There are few Korean references which can be traced back to the Baekje dance. Therefore we could should refer to Japanese dances such as Sinsoriko and Onintei, created by people a man from Baekje and originated in Baekje. Those dances are still practiced and passed down to new generations in Japan, thus we can develop the content of the Baekje court dance incorporating elements of the two Japanese dances. The Baekje court dance can be choreographed with some constraints. Music should be played by three to five musicians, dancers should consist of two to six performers, and the range of movements is also guessed. This content will be different from established works and unique, if it is utilized for the pre-ceremony dance of the Baekje ancestral ritual, or for performances about Baekje.

Download PDF list